그림을 상상하기 (완성의 그림과 습작)


하루 한시간을 그래도 그럭저럭 해나가고 있는데 이게

어떤날은(이라고 하고 매일이라고 읽는다.) 말그대로 하루 한시간만 그림을 그리게 된다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더라.

각설하고 이래저래 자료를 좀 보다가 생각이 나서 좀 끄적여 본다.

물론 그냥 흘려 듣고 보고 가는게 (비난과 없이)나로서도 다행인 노릇이다.




핑계일지도 모르고 실력의 이유가 가장 크지만

왠지 그림이 딱! 하고 마무리가 지어진 그림에 대한 거부감이 있다는 건데,

뭐랄까 보는 사람의 입장에서 뭔가 그 이상의 상상을 하기가 힘들어 진다는 게 나의 지론이다.

뭔가 덜 그린듯, 저 부분은 어떻게 할 수도 있겠네..하는 생각이 드는 그림을 보는 게 더 즐겁다는 것.

물론 대가들의 완성된 그림 앞에서 할 말을 잃는 경우도 있지만서도..

아무튼..





아저씨가.. 어쩌라고.. 모작하기도 힘들다고 나같은 범인들에게는 말이지..




같은 아저씨의 작품인데,

이런 그림을 그릴 수 있다는건 아니지만.. 이런 느낌이란 거지. 아..이 간지..










아.. 할 말이 없다.. 그냥 닥치고 대단하다..

그럼 다음 3개의 그림을 보도록 할까..










그래도 위의 세 작가(Sargent, Degas, Lautrec)의 그림이 더 좋은 건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무엇보다 이런 습작같은(혹은 습작처럼 보이는) 것들은 그들의 작업 과정이 보이는 것 같아 더욱 많은 공부가 되니까..

다시 한 번 말하지만 난 올려 놓은 그림처럼 그릴 실력은 안된다는 게 중요하다.

하지만 "완성"의 단계에 이르러 봐야 얻는 것이 더 많다는 건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야 언제나 거기 까지일테고..

위의 6명의 작가의 그림들은..




여기서 찾아 있다. 외의 화가도 많은데 너무 많아서..



꾸물

딴지일보 마빡을 만드는 정착왜구

댓글 쓰기

다음 이전